퇴직연금

퇴직금이 퇴직연금으로 바뀌는 이유

1

  • 퇴직금 vs. 퇴직연금? 뭐가 다를까

  • 퇴직연금은 퇴직금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 요즘과 같이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이직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시대에 퇴직연금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는데요. 퇴직금과 퇴직연금의 차이점을 통해 퇴직연금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봐요.

    퇴직금 vs. 퇴직연금? 뭐가 다를까

    기존의 퇴직금 제도는 근로자가 회사를 그만둘 때 근속연수와 급여를 기준으로 일정 금액을 주는 제도예요. 보통 20~30년 동안 한 회사에서 근속하는 경우가 많던 과거에는 퇴직금이 노후 자금이 되어주었어요.

    당시에는 평균 수명이 60~65세 정도였기 때문에 퇴직금으로 노후를 충분히 준비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다양한 사회 변화 때문에 퇴직금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졌어요.

    1. 일시금으로 지급하니 관리가 어려워요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은퇴 후의 삶이 20~30년 정도로 늘어났어요. 일시금으로 받은 퇴직금으로 스스로 20~30년 동안 운용하며 살아가긴 어려워요. 보통 일시금으로 목돈을 받게 되면 2~3년 안에 다 쓰는 경우가 많거든요.

    2. 회사가 망하면 퇴직금이 없어져요.

    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사하기 전까지 회사가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퇴사하기 전에 회사가 망해버리면 퇴직금도 함께 없어지게 돼요. 보통 회사가 도산까지 갔다면, 근로자의 퇴직금을 모아두지 않는 경우가 많거든요.

    퇴직연금은 퇴직금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퇴직연금 제도는 2005년에 도입되었어요. 기업이 자체적으로 퇴직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금융회사에 맡겨서 회사가 망해도 퇴직금이 남아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거예요. 또한 연금 형식으로 퇴직금을 전달하기 때문에 노후 준비도 도울 수 있죠. 결국, 퇴직연금은 안정적으로 퇴직금을 전달하기 위한 제도예요.

    내 퇴직연금은 얼마나 모였을까

    추천 콘텐츠

    연관 콘텐츠

      토스픽 에디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