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R 계산기

DSR 계산기

대출 정책이 바뀔 때마다 '내가 돈을 빌릴 수 있을지, 얼마까지 가능할지' 헷갈리셨죠? DSR을 계산해보면 내가 현 시점에 얼마나 대출 받을 수 있는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대출 정책이 바뀔 때마다 '내가 돈을 빌릴 수 있을지, 얼마까지 가능할지' 헷갈리셨죠? DSR을 계산해보면 내가 현 시점에 얼마나 대출 받을 수 있는지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대출계좌 선택

2025년 7월 1일부터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시행됐어요

DSR은 연소득 대비 갚아야 할 모든 대출의 원리금 비율을 기준으로, 대출 한도를 정하는 제도입니다. 스트레스 DSR은 여기에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는 가정을 반영해, 실제보다 높은 이자율로 심사하는 방식이에요. 금리가 오르더라도 상환 부담이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미리 여유를 두고 대출을 줄이는 거죠.

이전에는 스트레스 DSR 2단계가 적용돼 가산 금리를 0.75%p 더해 계산했지만, 이제는 그보다 더 커진 1.5%p를 적용하는 3단계가 시작됐어요. 그만큼 받을 수 있는 금액도 줄어든다는 뜻이에요. 이렇게 바뀐 기준에 따라, 대출 한도는 더 줄어들 수밖에 없어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제외한 지방 주택담보대출에 대해서는, 올해 말까지 이전과 같은 0.75%p 가산 금리가 유지되고, 신용대출은 잔액이 1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스트레스 DSR 가산 금리가 적용돼요.

[6.27 부동산 대책에 따른 대출 한도 변화 알아보기]

대출 받을 때 DSR 계산이 필요해요

만약 10억 원의 돈이 필요해서 은행을 찾아가면, 10억 원을 모두 빌릴 수 있을까요? 무작정 돈을 빌려줬을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이 많겠죠. 경기가 갑자기 나빠지거나 금리가 오르는 등의 변화가 생기면, 빚이 많은 사람들은 더 힘들어질 수 있어요.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충분히 갚을 수 있을 만큼만 대출을 해주기 위한 장치들이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DSR이에요. 정식 명칭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ebt Service Ratio)이죠. 1년간 버는 소득 중 대출 원금과 이자로 갚아야 하는 돈이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계산해서, 빌릴 수 있는 돈의 상한선을 정해주는 숫자이기 때문에 대출을 받기 전에 반드시 알아둬야 해요

가지고 있는 모든 빚을 더해 계산해야 하는데요.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학자금 대출, 마이너스 대출*, 자동차 할부,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합한 것을 기준으로, 연소득 대비 일정 비율(%)까지 대출해줘요.

* 마이너스대출은 빌린 금액이 아닌 한도금액, 즉 사용할 수 있는 마이너스대출 한도 전체를 더해요.

지금은 40%가 기준이에요

총 대출 금액이 1억 원을 넘으면, DSR 40%까지만 대출받을 수 있어요. 1년간 갚는 원리금이 연소득의 40%(비은행은 50%)를 넘어가게 대출받을 수 없다는 이야기예요.

예를 들어볼게요. 연 소득이 5,000만 원인 사람이 DSR 40%를 적용받는다면, 매년 내는 원금과 이자가 2,000만 원을 넘으면 대출이 제한돼요. 30년 만기, 연 4% 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할 경우, 최대 빌릴 수 있는 돈은 3억 4,800만 원이라는 계산이 나와요. 만약 신용대출이 있다면, 대출 한도는 더 줄어들 수 있고요.

원리금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대출을 갚을 때는 상환 방식도 선택할 수 있어요.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내고 싶다면, 원리금 균등원리금 균등 상환: 대출 원금과 이자를 합쳐서 매월 균등하게 갚아나가는 방식이에요. 대출 기간 동안 매월 같은 금액을 납부하기 때문에, 자금 계획을 세우기에 용이할 수 있어요.가장 적은 이자를 내고 싶다면, 원금 균등원금 균등 상환: 대출 원금은 매월 균등하게 갚고, 이자는 남은 원금에 대해 매달 계산해서 내는 방식이에요. 초기에는 상환 금액이 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부담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입니다.이자만 내고 원금은 나중에 갚는다면, 만기 일시만기 일시 상환: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갚다가, 만기일에 원금을 한 번에 상환하는 방식이에요. 매월 갚아야 하는 금액은 적지만, 이자 부담이 다른 상환 방식에 비해 큰 편이에요.

대출 한도 높이는 방법

일반적으로 계산 결과로 나온 DSR 숫자가 낮을수록 더 많은 돈을 빌릴 수 있고, 높을수록 빌릴 수 있는 금액은 줄어들어요. 대출 한도를 늘리려면 연 소득이 높아지거나, 매년 갚아야 하는 원리금(원금 + 이자) 부담을 줄이면 돼요. 예를 들어 대출 만기를 늘리면, 매년 갚아야 하는 원리금이 줄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한도가 올라갈 수 있어요.

제외되는 대출도 있어요. 전세대출, 중도금대출, 소액 신용대출 등 서민의 주거나 생계와 밀접한 대출은 DSR 적용에서 제외돼요.

[DSR에 포함되지 않는 특례보금자리론 알아보기]

청년이라면 연소득을 더 높게 쳐줘요

상대적으로 연소득이 적은 청년이라면, DSR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어요. 같은 금액의 빚이라도 5,000만 원을 버는 사람과 1억 원을 버는 사람이 감당해야 할 빚의 비중은 다르니까요.

청년들이 돈을 빌리기 어렵지 않도록, ‘미래의 소득’을 미리 반영해 계산해 주고 있어요. 집을 사려는 목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만 적용되고, 신용대출을 받을 때는 적용되지 않아요. 또, 자기 명의의 집이 없는 근로소득자여야 해요.

그래서 만기 30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만 20~24세 직장인은 현재 소득의 51.6%를 더한 금액을 장래소득으로 인정받아요. 만 25~29세는 31.4%, 만 30~34세는 13.1%를 더해 계산하면 돼요. 만 35세 이상은 장래소득이 적용되지 않아요.

주택담보대출 받을 땐 더 알아야 할 게 있어요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땐 더 알아야 할 게 있어요 내 집 마련을 위해 돈을 빌릴 때엔, DSR 외에도 대출 한도를 정하는 다른 기준들이 있어요.

LTV (Loan to Value): 집 값 대비 대출 받을 수 있는 비율이에요. LTV가 60%라면, 집 값 대비 60%까지만 대출받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DTI(Debt to Income): 내 소득에서 매년 대출원리금(대출 원금+이자)을 갚는 비용의 상한선을 의미해요. DTI가 40%라면, 내 연봉 또는 사업 소득의 40%까지 원금과 이자를 낼 수 있다는 뜻이에요. DTI는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만 더하지만 DSR은 한 사람이 가진 거의 모든 빚을 더해 빌려줄 수 있는 돈을 정한다는 점에서 더 강력한 대출 규제라고 할 수 있어요.

내 집 마련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들

보금자리론 포함 주택담보대출 종류 총정리 아티클 이미지
라이브러리

보금자리론 포함 주택담보대출 종류 총정리

내 집 마련을 위한 첫번째 준비물, 주택청약 종합저축통장 아티클 이미지
라이브러리

내 집 마련을 위한 첫번째 준비물, 주택청약 종합저축통장

첫 부동산 계약을 앞둔 당신에게 하고픈 이야기 아티클 이미지
라이브러리

첫 부동산 계약을 앞둔 당신에게 하고픈 이야기

집, 언제 사는 게 좋을까요? 아티클 이미지
뉴스, 라이브러리

집, 언제 사는 게 좋을까요?

파리, 뉴욕, 런던 사람들도 똘똘한 집 한 채에 집착할까? 아티클 이미지
라이브러리, 라이프

파리, 뉴욕, 런던 사람들도 똘똘한 집 한 채에 집착할까?

유의사항토스피드 금융 계산기는 토스가 대출모집인으로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니며,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 및 공개된 계산방법을 이용해 계산된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토스피드 금융 계산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금융 정보를 바탕으로 한 예측값이므로, 실제 금융사에서 확인하는 조건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용으로만 사용해 주세요.
토스는 계산 결과에 대해 어떠한 판단 또는 결정을 하지 않고,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한 사용자의 금융 활동에 대해 토스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서비스는 토스의 사정에 따라 사전 안내 없이 변경 또는 종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