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 비상전략 짜기, 나의 최저생활비는 얼마일까?

가계부 비상전략 짜기, 나의 최저생활비는 얼마일까?

미스페니

4

  • 최저생활비 구하는 법

  • 날씨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있듯 가계부에도 사계절이 있어요. 필요한 돈은 많은데 소득이 부족한 겨울이 오면 비상 전략이 필요하죠.

    ‘무조건 절약’으로 인한 피로감은 줄이면서 과소비를 막을 방법 중 하나는 나만의 최저생활비를 구해보는 거예요.

    최저생활비 구하는 법

    3개월 동안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아래 항목을 나눠서 정리하면 내가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돈이 얼마인지 구할 수 있어요.

    1. 무조건 지출해야 하는 고정비부터 골라내야 해요

    • 월세, 전세이자, 전기가스, 관리비 등 주거비
    • 미룰 수 없는 대출상환금, 보장성 보험료
    • 교통비, 통신비, 정기구독료, 종교비

    2.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초비용을 정리해요

    • 장보기, 외식비, 배달음식 등의 식비와 소모품
    • 병원비, 자녀 학원비, 반려동물의 식비와 병원비
    • 가족 전체가 함께하는 나들이, 여행비

    3. 절약이 너무 스트레스가 되지 않도록 절대 포기할 수 없는 것에 쓰는 용돈을 추가해요

    • 운동, 독서, 기호식품 등의 여가비
    • 의료, 신발, 잡화 등의 꾸밈비
    • 경조사, 모임, 비상 상황에 대한 예비비

    Q. 가계부에 꼭 필요한 것만 적어봤는데 350만 원… 너무 높은데 어쩌죠?

    여러분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최저생활비는 얼마인가요? 만약 300만 원까지 낮춰보고 싶다면 가계부에 적은 비용 중 ‘급하지 않은 지출’을 일시 정지 시켜봐요. 당장 필요하지 않은 건 일단 안 써 보고, 정말 필요하다고 느낄 때 써도 늦지 않아요.

    Q. 무조건 지출해야 하는 고정비는 줄일 방법이 없나요?

    고정비가 너무 높으면 소득이 사라졌을 때 힘들죠. 정말 비상 상황이 오면 직장인이 아닐 경우 국민연금을 잠시 중단하거나 보험료도 ‘일시정지’ 시킬 수 있어요. 나중에 한 번에 내고 연금 받을 수도 있거든요.

    그렇지만 항상 최저생활비로 살아야 하는 건 아니에요. ‘무조건 안 쓰기’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내 연비를 조절하는 연습’이라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Q. 식비로 나가는 돈도 줄일 수 있을까요?

    경제 상담을 할 때 “이번 달에 쓴 돈 중 가장 아까운 것은 무엇인가요?”라고 물으면 가장 많이 나오는 대답이 ‘식비’인데요. 식비 줄일 수 있는 4가지 팁이 있어요.

    1. 한 번 장 본 것으로 N번 집밥 해 먹기

    ‘집밥 쿼터제’를 시작해보세요. 한 번 장 봐온 재료를 가지고 집밥을 몇 번 해 먹을지 스스로 정해보는 거예요. 예를 들어 한 끼당 1만 원을 쓰기로 정하고, 3만 원어치의 장을 봤다면 집밥을 반드시 3번 해먹기로 약속하는 거죠.

    냉장고 위 메모지에 동그라미 3개를 그려넣고, 집밥을 한 번씩 해 먹을 때마다 동그라미를 지워보세요. 이러면 식재료를 다 쓰지 않은 채로 또 장을 보거나 배달 음식 시켜먹는 횟수를 줄일 수 있어요.

    2. 식재료별로 만들 수 있는 메뉴 적어두기

    감자를 보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요리가 익숙하다면 감자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요리들이 자동으로 떠오르겠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아요. 그러면 감자는 쓸모를 찾지 못하고 버려질 수 있는 거죠.

    그럴 때를 위해 가지고 있는 재료들로 만들 수 있는 메뉴들을 미리 적어 냉장고에 붙여두면 좋아요. 포털 사이트에 ‘식재료 이름 + 요리’로 검색하면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3. 식재료 구독 서비스로 외식 줄이기

    요즘 채소부터 과일, 반찬까지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가 많아요. 가격은 업체마다 다르지만 대략 1~2인 가구용 채소박스(7~10종)가 15,500원 선인데요. 비슷한 양을 온라인에서 따로따로 살 때보다 3,000~5,000원 저렴해요.

    배송 주기를 정해놓으면 때마다 집 앞으로 배달되기 때문에, 받은 재료를 다 쓰기 위해서라도 외식을 줄이게 된다는 장점도 있어요.

    4. 간식 미리 챙겨서 나가기

    외출하면 은근히 편의점 찾을 일이 많아요. 생수 한 병, 초콜릿 하나 등 조금씩 담다 보면 5,000원을 금세 넘어가죠.

    집을 나서기 전에 미리 생수 한 병(텀블러 활용을 추천해요), 간식 하나를 챙겨 나가면 이 돈을 아낄 수 있어요. 일주일에 5일 간식비 5,000원을 쓰지 않고 모으면 한 달에 10만 원이 된다는 걸 잊지 마세요.


    Edit 이지현 송수아 Graphic 조수희

    - 해당 콘텐츠는 2022년 8월 8일, 11월 8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토스피드의 외부 기고는 전문가 및 필진이 작성한 글로 토스피드 독자분들께 유용한 금융 팁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명한 금융 생활을 돕는 것을 주목적으로 합니다. 토스피드의 외부 기고는 토스팀의 블로그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되며, 토스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미스페니 에디터 이미지
    미스페니

    <나의 첫 번째 머니 다이어리> 저자이자 건강한 경제력을 키우는 머니핏 트레이너. 나다운 삶과 마음 편한 일상을 위해 돈을 공부합니다.

    필진 글 더보기

    추천 콘텐츠

    연관 콘텐츠

    토스뱅크 홈페이지